본문 바로가기

비행기 탈 때 보조배터리 반입, 이것만 보면 끝!

나불러봐라 2025. 4. 15.
반응형

비행기 탈 때 보조배터리 반입-배터리 규정

해외여행이든 국내여행이든 비행기를 탈 땐 늘 고민이 되는 게 하나 있죠. 바로 보조배터리 반입 가능 여부인데요! 😅

특히 요즘은 고용량 보조배터리도 흔하게 사용되고 있어서, 기내 반입 제한 기준을 잘 알아두지 않으면 공항에서 낭패 볼 수도 있어요. 이번 글에서는 보조배터리 용량 계산법부터 항공사별 반입 기준, 꿀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. 💡

🔋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기준은?

항공사와 국가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, 대부분의 항공사는 보조배터리의 용량(Wh)을 기준으로 기내 반입 여부를 판단해요.

✅ 일반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아요:

용량 (Wh) 반입 가능 여부 비고
100Wh 이하 ⭕ 기내 반입 가능 제한 없음
100~160Wh ⭕ 사전 승인 후 반입 가능 항공사 승인이 필요함
160Wh 초과 ❌ 반입 불가 위탁 수하물도 불가

📏 보조배터리 Wh 계산하는 법

그렇다면, 우리가 흔히 아는 mAh(밀리암페어시)를 Wh로 바꾸는 방법은?

공식은 아주 간단해요!

Wh = (mAh ÷ 1000) × V(전압)

보조배터리 대부분은 전압이 3.7V 또는 5V로 되어 있는데요, 기내 반입용 계산에는 보통 3.7V 기준으로 계산합니다. 🔍

예시 📦

  • 10,000mAh 배터리 × 3.7V = 37Wh → 기내 반입 OK!
  • 20,000mAh 배터리 × 3.7V = 74Wh → 기내 반입 OK!
  • 30,000mAh 배터리 × 3.7V = 111Wh → 항공사 사전 승인 필요

✈️ 항공사별 정책은?

아래는 주요 항공사들의 보조배터리 반입 정책 요약이에요.

항공사 100~160Wh 반입 여부 비고
대한항공 ⭕ 가능 (최대 2개) 사전 신고 권장
아시아나항공 ⭕ 가능 위탁 수하물 불가
제주항공, 진에어 등 ⭕ 가능 승인 필요

💁‍♀️ 보조배터리 반입 시 주의사항

  • 기내 반입만 가능하며, 위탁 수하물에는 절대 넣으면 안 돼요!
  • 포장이 되어 있지 않다면 단자 보호를 위해 절연테이프나 파우치에 넣는 것이 좋아요.
  • 2개 이상 휴대할 경우, 총 용량 합산도 확인해보세요.

✅ 마무리 정리

비행기 탈 때 보조배터리는 무조건 기내 반입해야 하고, 100Wh 이하는 안심하고 들고 탈 수 있어요. 그 이상일 경우에는 항공사 규정을 미리 확인해두면 마음 편하답니다 😊

이제 여행 준비할 때 보조배터리도 똑똑하게 챙겨보세요! ✈️📦

혹시 내가 사용하는 보조배터리가 애매하다면, 댓글로 모델명 알려주세요. 계산 도와드릴게요! 🙌

보조배터리 기내반입, 비행기 보조배터리 용량, Wh 계산법, mAh Wh 변환, 항공사 배터리 규정, 비행기 전자기기, 여행 보조배터리, 리튬이온 배터리, 항공 반입금지 물품, 배터리 전압 계산

반응형

댓글